[코스피] 세아제강 (306200)
[코스피] 세아제강 (306200)
[코스피] 세아제강의 개요
2020년 10월 관심종목 세아제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강관 만드는 회사일거라는 생각은 하지만 왜 이회사가 눈에 들어 왔는지는 천천히 얘기하도록 하지요
전자공시에 나와 있는 사업내용은 전자공시를 통해 확인을 하시면 별다른 내용이 없습니다.
2020년 10월 기준 설비는 125억 짜리 신텍 설비 인수 C
COVID 19로 인한 가동률 저하
주원재료인 HR(HOT ROLLED) COIL 가격의 하락
영국 니아트 나 구이테(NNG) 프로젝트
프랑스 상브리외(St.Brieuc) 프로젝트
대만 해상풍력발전(CFXD) 프로젝트
등이 이 회사의 주요 관심사안 입니다.
뉴스도 보시고 공시도 확인하셔서 투자에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세아제강의 차트
코멘트
아래내용의 전자공시에서는 풍력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습니다. 강관업체가 미국발 리스크가 있으니 조심해라 이런 내용입니다. 미국 발 수출 감소로 힘들었다는데 개인적인 생각은 뭔가 다른 이유가 있을 것 같기도 한데 심증만 있어서 뭐라 말을 할 수 가 없네요. 관심있으신 분들은 미 대선전까지 지켜 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존경하는 도람프 형님께서 당선 되시면 나가리 입니다. 완전 나가리 되었다가 다시 오가리 할지 모르겠습니다. 125억 감가비용에 들어갈거고 그 이상의 수주가 얼마나 빠른 시일내에 반영이 될지 모르겠네요. 일단 관심 가지고 있습니다. 좋은 의견의 댓글 환영합니다.
세아제강 전자공시의 사업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단일 사업부문(강관 제조 및 판매)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산업의 특성
철강산업은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기간산업으로서 국가경제에 미치는 기여도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막대한 자본투자가 소요되는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입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강관부문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에너지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강관업체의 내수 판매량은 2018년 307만톤, 2019년 312만톤, 2020년 상반기 누적 147만톤을 기록하였습니다. 국내 강관업체 수출 판매량은 미국 수출 물량의 쿼터제 도입으로 인해 2018년 153만톤, 2019년 131만톤, 2020년 상반기 누적 66만톤을 기록하였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강관산업은 조선, 자동차, 기계 등 여러 수요산업 중 최대수요산업인 건설산업의 경기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 외 석유, 가스 등의 에너지용 강관 수요산업의 영향도 크게 받고 있습니다. 계절적으로는 1,3분기는 비수기, 2,4분기는 성수기에 해당됩니다.
(4) 시장점유율 : 탄소강관
구 분 | 2020년(3기) 상반기 | 2019년(2기) | 2018년(1기) |
점 유 율 | 14.0 | 14.3 | 16.2 |
- '18년은 회사 설립일 이후인 9~12월까지 실적
- 용접강관 기준(자료원 : 한국철강협회)
(5) 경쟁요소
제조원가 중 재료비 비중이 높아 주원재료인 HR Coil 가격변동에 따라 경쟁력(매출 및 이익규모)이 크게 좌우되고 있으며, 원자재 수급 및 조달능력이 시장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체재 및 저가 제품 유입에 따른 위협이 증가됨에 따라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설비자동화를 통한 생산성향상과 원가절감, 품질개선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6) 관계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전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추세로 Anti-Dumping 등을 통한 수입규제 및 통상압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 최대 수출지역인 북미지역의 통상압력은 수출시황에 많은 영향을 주고있습니다. 그 외에도 최근 전세계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는 환경협약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도 탄소배출권 거래제 등 여러가지 규제가 시행중에 있음에 따라 생산활동의 제약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에 관한 사항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1) 당사는 배관용, 유정용, 구조용 등에 사용되는 강관 제품을 생산 및 판매 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구체적용도 | 주요상표등 | 매출액 | 비율 |
강관 | 대리점판매 실수요자판매 수출 판매 |
제품 | 구조용,유정용 배관용,상수도용 등 |
SeAH | 488,325 | 86% |
상품 등 | 상품, 부산물 등 | 81,252 | 14% | |||
합 계 | 569,577 | 100% |
(2)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톤) |
품 목 | 2020년(3기) 상반기 | 2019년(2기) | 2018년(1기) |
강관 | 1,013 | 1,041 | 1,001 |
※ '18년은 회사 설립일 이후인 9~12월까지 실적
3.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1) 당사의 주요원재료는 HR Coil 등으로, (주)포스코 등에서 구매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매입액 | 비율 | 비 고 |
제1차금속 -철강 |
원재료 | HR Coil 등 | 강관제조 등 | 345,955 | 95.5% | POSCO 등 |
아연 등 | 도금 등 | 16,205 | 4.5% | 고려아연 등 | ||
합 계 | 362,160 | 100% | - |
(2) 주요 원재료(HR Coil) 가격변동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톤) |
품 목 | 2020년(3기) 상반기 | 2019년(2기) | 2018년(1기) | 비 고 |
HR Coil | 612 | 657 | 696 | - |
※ '18년은 회사 설립일 이후인 9~12월까지 실적
4.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 톤) |
사업장 | 2020년 상반기 | 2019년 | 2018년 |
포항공장 | 525,000 | 1,050,000 | 1,100,000 |
군산공장 | 125,000 | 250,000 | 250,000 |
순천공장 | 90,000 | 180,000 | 180,000 |
창원공장 | 20,000 | 40,000 | 40,000 |
계 | 760,000 | 1,520,000 | 1,570,000 |
※ 상기 내용은 분할전 세아제강의 생산능력추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설비합리화로 인하여 포항공장의 생산능력이 일부 변경되었습니다.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 산출기준 : 현재 생산체제 기준
- 산출방법 : 시간당 생산Ton × 8시간 × 2교대(3교대) ×근무가능일수
(3) 생산실적
(단위 : 톤) |
사업장 | 2020년 상반기 | 2019년 | 2018년 |
포항공장 | 251,815 | 529,297 | 643,814 |
군산공장 | 100,441 | 192,776 | 195,009 |
순천공장 | 60,851 | 98,922 | 90,558 |
창원공장 | 15,286 | 29,917 | 31,703 |
계 | 428,393 | 850,912 | 961,084 |
※ 상기 내용은 분할전 세아제강의 생산실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4)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시간) |
사업장 | 연간가동가능시간 | 연간실제 가동시간 |
평균가동률 |
포항공장 | 4,368 | 2,095 | 50% |
군산공장 | 4,368 | 3,510 | 80% |
순천공장 | 4,368 | 2,953 | 68% |
창원공장 | 4,368 | 3,338 | 76% |
계 | 17,472 | 11,897 | 56% |
나. 생산설비의 현황 등
당사는 서울에 위치한 본사와 포항의 기술연구소를 포함하여 4개 공장(포항, 군산, 순천, 창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포항과 군산공장은 탄소강관, 순천공장은 탄소강관과 STS강관, 창원공장은 STS 및 Ti 등의 특수관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서 지속적인 R&D와 기존설비의 개선에도 투자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자산항목 : 생산설비]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기초장부가액 | 취득 | 처분 | 대체 | 당기상각 | 당기말 |
토지 | 274,847 | - | - | - | - | 274,847 |
건물 | 97,844 | - | - | 75 | (2,324) | 95,595 |
구축물 | 4,889 | - | (22) | 159 | (275) | 4,751 |
기계장치 | 150,448 | - | (557) | 2,630 | (10,430) | 142,091 |
차량운반구 | 25 | - | - | 48 | (12) | 61 |
기타의유형자산 | 4,930 | 31 | - | 328 | (716) | 4,573 |
건설중인자산 | 6,164 | 4,233 | - | (3,388) | - | 7,009 |
합 계 | 539,147 | 4,264 | (579) | (148) | (13,757) | 528,927 |
※ 건설중인자산의 대체금액 중 (-)148백만원은 무형자산과 비용으로 대체되었음
라.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 회사는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이사회 결의 등으로 1년이내의 특정 생산시설 신설, 또는 매입을 개시할 확정된 계획은 없습니다
5.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
품목 | 제3기 상반기 | 제2기 | 제1기 | |
제품 | 내수 | 236,630 | 497,673 | 179,280 |
수출 | 251,695 | 525,155 | 168,618 | |
소계 | 488,325 | 1,022,828 | 347,898 | |
상품 등 | 81,252 | 204,352 | 85,511 | |
합 계 | 569,577 | 1,227,180 | 433,409 |
※ 제1기는 기업분할 후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의 실적입니다.
나. 판매경로
(1) 내수 : 유통 및 실수요 판매
- 유통 : 세아제강 → 대리점/판매점
- 실수요 : 세아제강 → 수요가
(2) 수출 : Master 및 Local 판매
- Master : 세아제강 → 해외수요가
- Local : 세아제강 → 상사 → 해외수요가
다. 판매전략 : 고객만족, 제품차별화, 고부가가치 제품개발
라. 주요 매출처 : 주요 건설사, 철강 유통사, EPC업체, 해외판매법인 등 당사 수익의 10%이상을 차지하는 고객은 SeAH Steel America, Inc.이며, 당반기 및 전반기 중 발생한 매출액은 각각 89,819백만원 및 189,843백만원입니다.
6. 수주상황
수주 및 납품이 빈번하고 그 중요도가 떨어지므로 기재를 생략합니다.
7.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당사는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환위험, 유동성위험, 신용위험, 이자율위험 및 가격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금융위험관리 목적과 정책은 2019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와 동일합니다.
8.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당기말 현재 당사는 매매목적으로 금융기관과 다음과 같은 통화선도를 이용하고 있으며, 모든 파생상품의 공정가액은 거래은행이 제공한 평가내역을 이용하였습니다
당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미결제 통화스왑의 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화단위: 천, 원화단위: 백만원) |
계약처매입금액매도금액계약환율수취이자율지급이자율계약만기일장부가액
하나은행 | USDS27,705 | 30,000 | 1,082.80 | 3M Libor + 1.40% | 2.92% | 2021-02-15 | 2,960 |
당기 상기 통화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발행한 평가이익 1,064백만원을 금융수익으로 처리하였습니다.
9. 경영상의 주요계약
- 2020.04.01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계약체결기관 : KEB하나은행
위탁투자중개업자 : 엔에이치투자증권
목적 : 주가 안정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기간 : 2020.04.02~2020.10.05
금액 : 2,500,000,000원
10.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강관산업의 선두주자인 세아제강의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 원재료의 차별화를 통한 원가절감과 High grade 및 신수요 창출을 위한 신제품개발, 신 용접기술 연구 및 상용화를 통한 고객중심의 고부가가치 제품개발, 계측장치 자동화, 연구 및 개발을 통한 고품질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설비 연구 및 기술지원을 통한 단위공정별 생산성향상과 고객지향적 품질 확보를 위한 명품 제품 생산 연구역량을 극대화시키고 있습니다. 그동안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세아제강의 Think-Tank 역할을 수행하고 기계, 전자 분야의 Engineering 및 금속 소재 관련 전문 연구소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 조직(R&D센터)
R&D센터는 연구개발 업무를 전담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기술인력의 육성을 통한 파이프 산업에서 기술력의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기술/공정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신설비 투자 등을 통해 Project를 수행하고, 생산 애로 기술 개선과 창의적 개선을 통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신용접기술 개발을 통하여 신제품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스마트 팩토리 구축 및 품질 보증 체계 확립을 위해 설비 자동화/무인화 및 계측 장치 개발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 연구개발비용
회사의 최근 3년간 연구개발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과 목 | 제3기 상반기 | 제2기 | 제1기 | 비고 |
연구개발비용 총계 | 814 | 1,488 | 460 | - |
연구개발비용 총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 총계÷당기매출액×100] |
0.1% | 0.1% | 0.1% | - |
※ 제1기는 기업분할 후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의 실적입니다.
라. 연구개발 실적
당사의 최근 3개년도 주요 연구개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도 | 주요 연구과제명 | 연구 분야 및 기대효과 |
'17.04 ~ '18.08 | 미국 West Cost Pipe 공장 자동화 | 해외 신사업 검토/추진 및 기술지원 |
'17.04 ~ '19.06 | SSV 제2공장 신설 투자 | |
'18.09 ~ '19.12 | SSUSA Tubing Line 신설 | |
'18.03 ~ '19.06 | STS 강관 Digital RT 기술 개발 | 생산성 향상 및 공정 최적화 |
'18.09 ~ '19.12 | 비분무식 코팅장치 개발 | |
'17.03 ~ '19.06 | Super-TIG Overlay Welding 기술 연구 | 신제품 연구 개발 및 상용화 |
'17.10 ~ '20.12 | SAGD 제품 개발 (CANADA 向 Oil sand) | |
'19.06 ~ '21.12 | 수소배관 제조기술 연구 | |
'18.01 ~ '18.09 | Weldability (복관 용접) 기술 개발 | 용접기술 연구개발(신제품, 신기술) |
'17.07 ~ '21.12 | 수출주력형 에너지강관 센터 기반구축 사업 기술협약(POMIA) | 정부과제 및 산학연 공동연구 |
'19.01 ~ '20.12 | JCOE Tab 절단 & 비드 글리인딩 자동화 | 설비 자동화 및 SMART FACTORY |
※ 상기 내용은 분할 전 세아제강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1.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회사의 상표, 고객관리 정책
세아의 심볼마크는 발전하는 세아의 위상, 국제화에 적극 대응하는 진취성과 미래 지향성, 구성원간의 일체감을 의미하며 주력사업인 철강업과 첨단산업 부문을 접목하여 미래 지향적 진취적이미지를 표현하여 신뢰감을 부여하였습니다. 당사는 파이프 산업에서의 59년의 노하우와 업계 선두 기술력을 바탕으로 SeAH의 브랜드를 구축하여 왔으며, 국내외 판매제품에 세아의 심볼마크를 사용함으로써 세아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나.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구분 | 취득일 (등록번호) |
내용 | 근거법령 | 취득소요 인력/기간/비용 |
상용화 여부 및 매출기여도 |
상표 | 2014.11.27 (1072209) |
SMP110 (10년) - 강관, 강판, 스텐레스강관, 주철관, 철관, 철선 外 6건 |
상표법 | 1년 3개월 70만원 |
상품 12건에 대한 사용 |
디자인 | 2013.09.04 (0708315) |
건축용 조립식 빔 (15년) | 상표법 | 6명 / 1년 20만원 |
디자인 권리 획득 및 제품 브랜드 가치 제고 |
특허 | 2002. 4.19 (0335010) |
용융아연도금 스팀 블로잉장치 (20년) | 특허법 | 2명 / 3년 250만원 |
현장 적용 |
2003. 1.15 (0369902) |
용접원형관 내면 용접돌기 자동 절단장치 (20년) | 특허법 | 1명 / 2년 6개월 천만원 |
현장 적용 (ERW Pipe 제조공정) |
|
2005. 3.25 (0481053) |
파이프 내부의 이물질 제거용 에어분사장치 (20년) | 특허법 | 2명/ 3년 250만원 |
현장 적용 (소경,중경Line) |
|
2006. 4.24 (0575331) |
인라인 열처리를 위한 일체형 유도가열처리 보온 및 냉각장치 (20년) |
특허법 | 4명 / 1년 100만원 |
현장 적용 (STS Pipe 제조공정) |
|
2006.10.17 (0637600) |
유화물 응력부식 특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라인파이프 강관의 제조방법 (20년) |
특허법 | 5명 2년 8개월 약 7천2백만원 |
선행개발기술 (권리확보) |
|
2011.02.13 (1016172) |
금속 표면 및 콘크리트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세라믹 플라스틱 세라믹스의 조성물 제조방법 (20년) |
특허법 | 기술이전비 약 25만원 |
타사 기술 권리이전 | |
2011.06.01 (1039600) |
고분자 CPC분말을 이용한 고압 용융분사장치(20년) | 특허법 | 기술이전비 약 25만원 |
타사 기술 권리이전 | |
2011.06.01 (1039601) |
금속 표면 및 콘크리트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수동 용사장치 및 방법 (20년) |
특허법 | 기술이전비 약 25만원 |
타사 기술 권리이전 | |
2011.06.01 (1039602) |
금속 표면 및 콘크리트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자동 용사장치 및 방법 (20년) |
특허법 | 기술이전비 약 25만원 |
타사 기술 권리이전 | |
2013.01.04 (1221053) |
고주파 전기저항 용접방법 (20년) | 특허법 | 2년 3개월 약 120만원 |
선행개발기술 (생기원 공동권리확보) |
|
2014.01.02 (1349251) |
이중관의 제조방법 (20년) | 특허법 | 3명 / 2년 3개월 약 390만원 |
선행개발기술 (권리확보) |
|
2014.10.31 (1458875) |
플레이트-각관 조립철골보에 의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20년) | 특허법 | 6명 / 2년 40만원 |
특허 권리 획득 및 제품 브랜드 가치 제고 | |
2016.09.12 (1658651) |
파이프 외경 측정 장치 및 방법 (20년) | 특허법 | 3명 / 2년 약 500만원 |
현장 적용 (SAW Pipe 제조공정) |
|
2017.03.27 (1721946) |
강관의 개방형 무노즐 냉각챔버 (20년) | 특허법 | 4명 / 2년 약 260만원 |
현장 적용 (STS Pipe 열처리공정) |
|
2017.04.12 (1727989) |
고망간강 강관 제조방법 (20년) | 특허법 | 10 명 / 3년 약 380만원 |
현장 적용 (SAW Pipe 제조공정) |
※ 상기 내용은 분할 전 세아제강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 환경관련 규제사항
당사는 제1차 금속제품 제조가공업(강관제조업)으로서 전용공업지역으로 분류되어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전용 공업지역에 대한 정부의 주요 규제사항으로는 대기환경보전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화학물질 관리법, 토양환경보전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관련 규제에 대하여 당사는 대기, 수질 배출오염물질은 법적기준치 대비 30% 이내로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여러가지 형태의 환경오염 방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관련법규 준수를 위한 친환경 경영활동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환경사고 없는 녹색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제16조의8(환경정보의 작성·공개)에 의거하여, 2019년 사업장 환경정보공개자료를 투명하게 등록하였으며, 관련법령에 의거, 2021년도에 대국민 정보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2019년도에 폐기물 자원순환 성과관리 대상자로 지정되어 2020년 폐기물 감량화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개선활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관련 지방자치단체(포항시)와 자율적인 환경개선협약 준수를 통하여, 녹색경영을 확산함으로써, 천연자원, 온실가스 배출 및 환경오염 발생을 최소화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포스팅은 세아제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잘 알려진 풍력관련 회사들이 많은데 굳이 이런 회사까지 봐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실적이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에 대해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판단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